베트남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3단계로 구성되며, 성(Tỉnh), 중앙 직할시, 현(Huyện), 시사(Thị xã), 군(Quận), 사(Xã), 방(Phường), 시진(Thị trấn) 등으로 세분된다. 베트남은 58개의 성과 5개의 중앙 직할시(하노이, 호치민, 다낭, 하이퐁, 껀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행정 구역은 도시화 수준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2024년 9월 1일 기준, 704개의 2단계 행정 구역과 10,542개의 3단계 행정 구역이 존재한다. 베트남은 8개의 지방으로 구분되기도 하며, 역사적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나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하노이
하노이는 베트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기원전부터 정치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해왔고,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베트남 전쟁을 거쳐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현대적인 도시 개발과 함께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베트남의 성
베트남의 성은 중앙 정부의 지도 아래 인민회의와 인민위원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1차 행정 구역으로, 베트남 공산당 성위원회가 실질적인 지도 역할을 수행하며, 인민위원회, 인민재판소, 경찰국, 성 군사령부 등이 중앙 정부의 정책을 이행하고, 2019년 기준 5개의 중앙 직할시와 58개의 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달랏
달랏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에 위치하며, "상춘의 도시" 또는 "영원한 봄의 도시"로 불리며, 아르데코 양식과 베트남 전통 건축 양식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가지고 있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빈딘성
빈딘성은 참파 왕국의 유적과 떠이선 왕조의 발상지이며, 꼰 강을 비롯한 여러 강이 흐르는 지역으로, 뀌년 항을 통해 해상 운송이 이루어진다.
베트남의 행정 구역 | |
---|---|
개요 | |
국가 | 베트남 |
유형 | 행정 구역 |
관련 항목 | 베트남의 행정 구역 목록 |
행정 계층 구조 | |
1단계 | 중앙직할시 성 |
2단계 | 시사 군 성할시 시할시 현 |
3단계 | 방 사 시진 |
2. 행정 구역
베트남의 행정 단위는 일반적으로 3단계로 구성되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 성( Tỉnh|띤vie, 省) 및 중앙직할시: 대한민국의 도 및 광역시에 해당한다.
- 성시( Thành phố thuộc tỉnh|타인포 투옥 띤vie), 시사( Thị xã|티싸vie), 군( Quận|꾸언vie), 현( Huyện|후옌vie): 대한민국의 시, 구, 군에 해당한다.
- 방( Phường|프엉vie), 시진( Thị trấn|티쩐vie), 사( Xã|싸vie): 대한민국의 동, 읍, 면에 해당한다.
베트남 헌법에 따라 공식적으로는 성(省)급, 현(縣)급, 사(社)급의 3단계 행정 구역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각 단계는 도시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행정 단위로 나뉜다.[1] 자세한 행정 구역 체계와 목록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행정 구역 체계
베트남 헌법에 따라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공식적으로 3단계로 나뉜다: 성(省)급, 현(縣)급, 사(社)급. 각 단계는 도시화 수준에 따라 여러 유형의 행정 단위로 구성된다.- 1단계 (성급): 최상위 행정 구역으로, 58개의 성( tỉnh|띤vie, 省)과 5개의 중앙직할시(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타인포 쭉투옥 쭝으엉vie, 城舗直屬中央)로 이루어진다.
- 2단계 (현급): 성 또는 중앙직할시 아래에 두는 중간 행정 구역이다.
- 성(省) 아래: 성시( Thành phố thuộc tỉnh|타인포 투옥 띤vie, 城舗屬省), 티싸( thị xã|티싸vie, 市社), 현( huyện|후옌vie, 縣)
- 중앙직할시 아래: 군( quận|꾸언vie, 郡), 티싸, 현. 일부 중앙직할시에는 직할시 산하 시( Thành phố thuộc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타인포 투옥 타인포 쭉투옥 쭝으엉vie)[1]도 있다.
- 3단계 (사급): 최하위 행정 구역이다.
- 군(郡), 성시(城舗), 시사(市社) 아래: 방( phường|프엉vie, 坊) 또는 사( xã|싸vie, 社). (단, 군(郡) 아래에는 방(坊)만 존재)
- 현(縣) 아래: 시진( thị trấn|티쩐vie, 市鎭) 또는 사( xã|싸vie, 社).
아래 표는 베트남의 행정 구역 계층 구조와 대한민국 행정 구역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계층 | 1단계 (성급) | 2단계 (현급) | 3단계 (사급) | 대한민국 행정 구역 비교 (참고) | |||||||||||||||||||||||||||||||||||||||||||||||||||||||||||||||||||||||||||||||||||||||||||||||||||||||||||||||||||||||||||||||||||||||||||||||||||||||||||||||||||||||||||||||||||||||||||||||||||||||||||||||||||||||||||||||||||||||||||||||||||||||||||||||||||||||||||||||||||||||||||||||||||||||||||||||||||||||||||||||||||||||||||||||||||||||||||||||||||||||||||||||||||||||||||||||||||||||||||||||||||||||||||||||||||||
---|---|---|---|---|---|---|---|---|---|---|---|---|---|---|---|---|---|---|---|---|---|---|---|---|---|---|---|---|---|---|---|---|---|---|---|---|---|---|---|---|---|---|---|---|---|---|---|---|---|---|---|---|---|---|---|---|---|---|---|---|---|---|---|---|---|---|---|---|---|---|---|---|---|---|---|---|---|---|---|---|---|---|---|---|---|---|---|---|---|---|---|---|---|---|---|---|---|---|---|---|---|---|---|---|---|---|---|---|---|---|---|---|---|---|---|---|---|---|---|---|---|---|---|---|---|---|---|---|---|---|---|---|---|---|---|---|---|---|---|---|---|---|---|---|---|---|---|---|---|---|---|---|---|---|---|---|---|---|---|---|---|---|---|---|---|---|---|---|---|---|---|---|---|---|---|---|---|---|---|---|---|---|---|---|---|---|---|---|---|---|---|---|---|---|---|---|---|---|---|---|---|---|---|---|---|---|---|---|---|---|---|---|---|---|---|---|---|---|---|---|---|---|---|---|---|---|---|---|---|---|---|---|---|---|---|---|---|---|---|---|---|---|---|---|---|---|---|---|---|---|---|---|---|---|---|---|---|---|---|---|---|---|---|---|---|---|---|---|---|---|---|---|---|---|---|---|---|---|---|---|---|---|---|---|---|---|---|---|---|---|---|---|---|---|---|---|---|---|---|---|---|---|---|---|---|---|---|---|---|---|---|---|---|---|---|---|---|---|---|---|---|---|---|---|---|---|---|---|---|---|---|---|---|---|---|---|---|---|---|---|---|---|---|---|---|---|---|---|---|---|---|---|---|---|---|---|---|---|---|---|---|---|---|---|---|---|---|---|---|---|---|---|---|---|---|---|---|---|---|---|---|---|---|---|---|---|---|---|---|---|---|---|---|---|---|---|---|---|---|---|---|---|---|---|---|---|---|---|---|---|---|---|---|---|---|---|---|---|---|---|---|---|---|---|---|
구분 | 중앙직할시 ({{lang|vie|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 })
행정 구역명 | 베트남어 표기 | 성도 | 인구(2019.4.1 현재)[9] | 면적 | 지방 |
---|---|---|---|---|---|
까마우성 | Cà Mau|까마우vie | 까마우 | 1194476 | 5192km2 | 메콩강 삼각주 |
까오방성 | Cao Bằng|까오방vie | 까오방 | 530341 | 6691km2 | 동북 |
껀터 (직할시) | Cần Thơ|껀터vie | 껀터 | 1235171 | 1390km2 | 메콩강 삼각주 |
꼰뚬성 | Kon Tum|꼰뚬vie | 꼰뚬 | 540341 | 9615km2 | 중부고원 |
꽝남성 | Quảng Nam|꽝남vie | 땀끼 | 1495812 | 10408km2 | 남중부 |
꽝닌성 | Quảng Ninh|꽝닌vie | 할롱 | 1320324 | 5899km2 | 동북 |
꽝빈성 | Quảng Bình|꽝빈vie | 동허이 | 895430 | 8025km2 | 북중부 |
꽝응아이성 | Quảng Ngãi|꽝응아이vie | 꽝응아이 | 1231697 | 5135km2 | 남중부 |
꽝찌성 | Quảng Trị|꽝찌vie | 동하 | 632375 | 4746km2 | 북중부 |
끼엔장성 | Kiên Giang|끼엔장vie | 락자 | 1723067 | 6269km2 | 메콩강 삼각주 |
남딘성 | Nam Định|남딘vie | 남딘 | 1780393 | 1637km2 | 홍강 삼각주 |
닌빈성 | Ninh Bình|닌빈vie | 닌빈 | 982487 | 1382km2 | 홍강 삼각주 |
닌투언성 | Ninh Thuận|닌투언vie | 판랑탑짬 | 590467 | 3360km2 | 남중부 |
다낭 (직할시) | Đà Nẵng|다낭vie | 다낭 | 1134310 | 1256km2 | 남중부 |
닥농성 | Đắk Nông|닥농vie | 자응이어 | 622168 | 6514km2 | 중부고원 |
닥락성 | Đắk Lắk|닥락vie | 부온마투옷 | 1869322 | 13062km2 | 중부고원 |
동나이성 | Đồng Nai|동나이vie | 비엔호아 | 3097107 | 5895km2 | 동남부 |
동탑성 | Đồng Tháp|동탑vie | 까올라인 | 1599504 | 3238km2 | 메콩강 삼각주 |
디엔비엔성 | Điện Biên|디엔비엔vie | 디엔비엔푸 | 598856 | 8544km2 | 서북 |
떠이닌성 | Tây Ninh|떠이닌vie | 떠이닌 | 1169165 | 4028km2 | 동남부 |
뚜옌꽝성 | Tuyên Quang|뚜옌꽝vie | 뚜옌꽝 | 784811 | 5868km2 | 동북 |
띠엔장성 | Tiền Giang|띠엔장vie | 미토 | 1764185 | 2367km2 | 메콩강 삼각주 |
라오까이성 | Lào Cai|라오까이vie | 라오까이 | 730420 | 8057km2 | 서북 |
라이쩌우성 | Lai Châu|라이쩌우vie | 라이쩌우 | 460196 | 7365km2 | 서북 |
랑선성 | Lạng Sơn|랑선vie | 랑선 | 781655 | 8305km2 | 동북 |
럼동성 | Lâm Đồng|럼동vie | 달랏 | 1296906 | 9765km2 | 중부고원 |
롱안성 | Long An|롱안vie | 떤안 | 1668547 | 4492km2 | 메콩강 삼각주 |
바리어붕따우성 | Bà Rịa-Vũng Tàu|바리어붕따우vie | 바리어 | 1148313 | 1975km2 | 동남부 |
박깐성 | Bắc Kạn|박깐vie | 박깐 | 313905 | 4795km2 | 동북 |
박닌성 | Bắc Ninh|박닌vie | 박닌 | 1368840 | 804km2 | 홍강 삼각주 |
박리에우성 | Bạc Liêu|박리에우vie | 박리에우 | 907236 | 2521km2 | 메콩강 삼각주 |
박장성 | Bắc Giang|박장vie | 박장 | 1522000 | 3822km2 | 동북 |
벤째성 | Bến Tre|벤째vie | 벤째 | 1288463 | 2287km2 | 메콩강 삼각주 |
빈딘성 | Bình Định|빈딘vie | 꾸이년 | 1486918 | 6076km2 | 남중부 |
빈롱성 | Vĩnh Long|빈롱vie | 빈롱 | 1022791 | 1475km2 | 메콩강 삼각주 |
빈즈엉성 | Bình Dương|빈즈엉vie | 투저우못 | 2428561 | 2696km2 | 동남부 |
빈투언성 | Bình Thuận|빈투언vie | 판티엣 | 1230808 | 7828km2 | 남중부 |
빈푹성 | Vĩnh Phúc|빈푹vie | 빈옌 | 1151154 | 1371km2 | 홍강 삼각주 |
빈프억성 | Bình Phước|빈프억vie | 동쏘아이 | 994679 | 6856km2 | 동남부 |
선라성 | Sơn La|선라vie | 선라 | 1248415 | 14055km2 | 서북 |
속짱성 | Sóc Trăng|속짱vie | 속짱 | 1199653 | 3223km2 | 메콩강 삼각주 |
안장성 | An Giang|안장vie | 롱쑤옌 | 1908252 | 3406km2 | 메콩강 삼각주 |
옌바이성 | Yên Bái|옌바이vie | 옌바이 | 821030 | 6883km2 | 서북 |
응에안성 | Nghệ An|응에안vie | 빈 | 3327791 | 16487km2 | 북중부 |
잘라이성 | Gia Lai|잘라이vie | 쁠래이꾸 | 1513847 | 15496km2 | 중부고원 |
짜빈성 | Trà Vinh|짜빈vie | 짜빈 | 1009168 | 2226km2 | 메콩강 삼각주 |
카인호아성 | Khánh Hòa|카인호아vie | 냐짱 | 1231107 | 5197km2 | 남중부 |
타이빈성 | Thái Bình|타이빈vie | 타이빈 | 1860447 | 1542km2 | 홍강 삼각주 |
타이응우옌성 | Thái Nguyên|타이응우옌vie | 타이응우옌 | 1286751 | 3563km2 | 동북 |
타인호아성 | Thanh Hoá|타인호아vie | 타인호아 | 3640128 | 11106km2 | 북중부 |
투아티엔후에성 | Thừa Thiên-Huế|투아티엔후에vie | 후에 | 1128620 | 5009km2 | 북중부 |
푸옌성 | Phú Yên|푸옌vie | 뚜이호아 | 872964 | 5045km2 | 남중부 |
푸토성 | Phú Thọ|푸토vie | 비엣찌 | 1463476 | 3519km2 | 동북 |
하남성 | Hà Nam|하남vie | 풀리 | 852800 | 849km2 | 홍강 삼각주 |
하노이(수도) | Hà Nội|하노이vie | 하노이 | 8053663 | 3119km2 | 홍강 삼각주 |
하띤성 | Hà Tĩnh|하띤vie | 하띤 | 1288866 | 6056km2 | 북중부 |
허우장성 | Hậu Giang|허우장vie | 비타인 | 733017 | 1608km2 | 메콩강 삼각주 |
하이즈엉성 | Hải Dương|하이즈엉vie | 하이즈엉 | 1892254 | 1648km2 | 홍강 삼각주 |
하이퐁 (직할시) | Hải Phòng|하이퐁vie | 하이퐁 | 2028514 | 1503km2 | 홍강 삼각주 |
하장성 | Hà Giang|하장vie | 하장 | 854679 | 7884km2 | 동북 |
호아빈성 | Hoà Bình|호아빈vie | 호아빈 | 854131 | 4663km2 | 서북 |
호찌민 (직할시) | Hồ Chí Minh City|호찌민vie | 호찌민 | 8993082 | 2095km2 | 동남부 |
흥옌성 | Hưng Yên|흥옌vie | 흥옌 | 1252731 | 928km2 | 홍강 삼각주 |
3. 지방
베트남 정부는 행정 편의 등의 이유로 전국을 여러 지역으로 나누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8개의 '''지방'''(地方)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있지만, 이 구분이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도 있다.[8]
3. 1. 지역 구분
베트남 정부는 행정, 계획, 통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전국을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이러한 지역 구분은 항상 고정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기도 한다.[8]
크게 베트남 북부(Bắc Bộ), 베트남 중부(Trung Bộ), 베트남 남부(Nam Bộ) 3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나뉘며, 이를 다시 8개의 지리적 하위 지역으로 세분화하기도 한다.
지리적 지역 | 지리적 하위 지역 |
---|---|
베트남 북부 (Bắc Bộ|박보vie, 북부) | 동북부 (Đông Bắc Bộ|동박보vie, 동북부) |
서북부 (Tây Bắc Bộ|떠이박보vie, 서북부) | |
홍강 삼각주 (Đồng Bằng Sông Hồng|동방송홍vie) | |
베트남 중부 (Trung Bộ|쭝보vie, 중부) | 북중부 해안 (Bắc Trung Bộ|박쭝보vie) |
남중부 해안 (Duyên hải Nam Trung Bộ|주옌하이남쭝보vie) | |
중부 고원 (Tây Nguyên|떠이응우옌vie) | |
베트남 남부 (Nam Bộ|남보vie, 남부) | 동남부 (Đông Nam Bộ|동남보vie, 동남부) |
메콩강 삼각주 (Đồng Bằng Sông Cửu Long|동방송끄우롱vie) 또는 서남부 (Tây Nam Bộ|떠이남보vie, 서남부) |
일반적으로 베트남은 다음과 같이 8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지역 | 베트남어 명칭 (한자) | 구성 행정 구역 (성/직할시) |
---|---|---|
서북부 | Tây Bắc Bộ|떠이박보vie (西北部) | 6개 성: 라오까이, 라이쩌우, 디엔비엔, 선라, 호아빈, 옌바이 |
동북부 | Đông Bắc Bộ|동박보vie (東北部) | 9개 성: 하장, 까오방, 박깐, 랑선, 뚜옌꽝, 타이응우옌, 푸토, 박장, 꽝닌 |
홍강 삼각주 | Đồng bằng sông Hồng|동방송홍vie (垌平瀧紅) | 8개 성, 2개 직할시: 타이빈, 남딘, 닌빈, 하남, 빈푹, 박닌, 흥옌, 하이즈엉, 하노이(직할시), 하이퐁(직할시) |
북중부 | Bắc Trung Bộ|박쭝보vie (北中部) | 6개 성: 타인호아, 응에안, 하띤, 꽝빈, 꽝찌, 트어티엔후에 |
남중부 | Nam Trung Bộ|남쭝보vie (南中部) | 7개 성, 1개 직할시: 꽝남, 꽝응아이, 빈딘, 푸옌, 카인호아, 닌투언, 빈투언, 다낭(직할시) |
중부 고원 | Tây Nguyên|떠이응우옌vie (西原) | 5개 성: 꼰뚬, 잘라이, 닥락, 닥농, 럼동 |
동남부 | Đông Nam Bộ|동남보vie (東南部) | 5개 성, 1개 직할시: 빈프억, 빈즈엉, 동나이, 떠이닌, 바리어붕따우, 호찌민시(직할시) |
메콩강 삼각주 | Đồng bằng sông Cửu Long|동방송끄우롱vie (垌平瀧九龍) 또는 Tây Nam Bộ|떠이남보vie (西南部) | 12개 성, 1개 직할시: 롱안, 띠엔장, 벤째, 빈롱, 짜빈, 동탑, 허우장, 속짱, 안장, 끼엔장, 박리에우, 까마우, 껀터(직할시) |
크게 북부, 중부, 남부 지방을 묶어 부르는 다른 명칭들도 있다.
- '''북부 지방''': Miền Bắc|미엔박vie (沔北), Bắc Bộ|박보vie (北部), 또는 역사적으로 Bắc Kỳ|박끼vie (北圻), 통킹( Đông Kinh|동낑vie, 東京) 등으로 불렸다. 서북부, 동북부, 홍강 삼각주 지역을 포함한다.
- '''중부 지방''': Miền Trung|미엔쭝vie (沔中), Trung Bộ|쭝보vie (中部), 또는 역사적으로 Trung Kỳ|쭝끼vie (中圻), 안남( An Nam|안남vie, 安南) 등으로 불렸다. 북중부, 중부 고원, 남중부 지역을 포함한다.
- '''남부 지방''': Miền Nam|미엔남vie (沔南), Nam Bộ|남보vie (南部), 또는 역사적으로 Nam Kỳ|남끼vie (南圻), 코친차이나( Cochinchinefra) 등으로 불렸다. 동남부, 메콩강 삼각주 지역을 포함한다.
- '''※''' 단, 통킹(동킨), 안남, 코친차이나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 사용된 역사적 용어이며, 현재 베트남인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코친차이나는 프랑스어이다.
3. 2. 역사적 구분 (2분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휴전을 유지하기 위해 1954년 제네바 협정에서 정한 구분 방식으로, 17도선(군사 분계선)을 경계로 한다. 이 구분은 1976년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북베트남''' (Bắc Việt Nam|박 비엣 남vi): 베트남 인민군 세력이 철수하도록 지정된 지역이다. 북부 지방과 꽝찌 성 이북(17도선 이북)의 중부 지방을 포함한다. 과거 '''베트남 민주 공화국''' (Việt Nam Dân chủ Cộng hòa|비엣 남 전 쭈 꽁 호아vi)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남베트남''' (Nam Việt Nam|남 비엣 남vi): 프랑스 연합 세력(프랑스군, 베트남 국군)이 철수하도록 지정된 지역이다. 꽝찌 성 이남(17도선 이남)의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을 포함한다. 과거 '''베트남 공화국''' (Cộng hòa Miền Nam Việt Nam|꽁 호아 미엔 남 비엣 남vi)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4. 주요 도시
베트남에는 5개의 주요 도시가 중앙 직할시로 지정되어 있다.
- '''하노이'''(Thành phố Hà Nội|타인포 하노이vie, 城庯河內) - 수도. 홍강 삼각주 지방.
- '''호찌민 시'''(Thành phố Hồ Chí Minh|타인포 호찌민vie, 城庯胡志明) - 동남부 지방.
- '''다낭'''(Thành phố Đà Nẵng|타인포 다낭vie, 城庯沱㶞) - 남중부 지방.
- '''하이퐁'''(Thành phố Hải Phòng|타인포 하이퐁vie, 城庯海防) - 홍강 삼각주 지방.
- '''껀터'''(Thành phố Cần Thơ|타인포 껀터vie, 城庯芹苴) - 메콩강 삼각주 지방.
4. 1. 하노이
하노이( ''Thành phố Hà Nội''vie, 城庯河內vie )는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의 수도로, 홍강 삼각주에 위치한다. 2023년 기준으로 인구는 8,587,141명이다.[10] 하노이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이며, 베트남의 여러 왕조가 수도로 삼았던 곳이다. 프랑스 식민지 시기에는 통킹 지방의 행정청이 위치하기도 했다. 1945년에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수도가 되었고, 1976년 베트남 통일 이후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다.4. 2. 호찌민
호찌민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메콩강 하구 삼각주에 자리하고 있다.[1]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ព្រៃនគរ|프레이 노코르km'''(Prey Nokor영어)라는 이름의 캄보디아 주요 항구였다.[1] 이후 '사이공'(Sài Gòn|사이공vi)이라는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인 코친차이나와 독립국 남베트남(1954년~1976년)의 수도 역할을 했다.[1]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 공식적으로 '호찌민시'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현재도 '사이공'이라는 옛 이름이 널리 통용되고 있다.[1] 시의 중심부는 사이공강 강둑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중국해에서는 약 60km 떨어져 있다.[1] 호찌민시는 베트남의 5개 중앙 직할시 중 하나로, 동남부 지방에 속한다.4. 3. 하이퐁
하이퐁( Thành phố Hải Phòng|타인포 하이퐁vi, 城庯海防 )은 베트남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수도 하노이로부터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베트남 북부 지역의 주요 항구도시 역할을 한다. 하이퐁은 홍강 삼각주 지방에 속한 중앙 직할시이다.4. 4. 껀터
껀터는 인구 1,235,171명[11](2019년 기준)을 가진 베트남 남부 메콩강 삼각주의 최대 도시이자 중앙직할시이다.껀터는 메콩강 최대 지류인 하우 강 남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베트남 최대 도시인 호찌민시에서 서쪽으로 약 160km 떨어져 있다.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5월부터 11월까지는 우기, 12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이다. 연간 평균 습도는 83%, 연간 평균 강수량은 1,635mm이며, 연간 평균 기온은 27°C이다. 껀터시는 안장성, 허우장성, 끼엔장성, 빈롱성, 동탑성과 인접해 있다.
4. 5. 다낭
다낭은 베트남 남중부 지방의 최대 상업 및 항구도시이자 베트남의 다섯 개의 직할시 중 하나이고,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다낭은 남중국해와 맞닿아 있다. 다낭의 역사는 약 300년 정도로, 베트남의 문화가 존재한 4천 년에 비하면 비교적 신생 지역이라 할 수 있다.고대에는 참족의 중요 거점으로 번영을 누렸으나, 1847년 장바티스트 세실 장군이 파견한 프랑스 배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의 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다낭을 폭격하였다. 이후 1858년 8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 군대가 상륙하여 이 지역을 식민지로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다낭은 Tourane|투란프랑스어이라고 불렸으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5대 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다낭은 남베트남군과 미군의 주요한 공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그때부터 다낭의 인구는 1백만 명이 넘게 증가하였다. 특히 1968년 후에 전투의 여파로 후에에서 많은 사람이 다낭으로 피신하기도 하였다.
1997년 이전에 다낭은 꽝남-다낭 성의 일부였다가, 1997년 1월 1일 베트남의 네 번째 직할시가 되면서 꽝남성과 분리되었다.
4. 6. 선거구
베트남은 또한 선거구와 군사 지역으로 나뉜다.선거 목적으로 각 성 또는 직할시는 선거구(đơn vị bầu cử|던 비 바우 끄vie)로 나뉘며, 이는 다시 투표 구역(khu vực bỏ phiếu|쿠 븍 버 피에우vie)으로 세분화된다. 선거구의 수는 선거 때마다 다르며 해당 성 또는 직할시의 인구에 따라 달라진다.
2011년 국회 선거 이후로 183개의 선거구와 89,960개의 투표 구역이 있었다.
4. 7. 군관구
베트남은 행정 구역 외에도 선거구와 군사 지역으로 나뉜다.
베트남 인민군은 8개의 군관구로 편성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uật tổ chức chính quyền địa phương 2015 số 77/2015/QH13 mới nhất
https://thuvienphapl[...]
2022-10-07
[2]
웹사이트
TỔNG HỢP ĐƠN VỊ HÀNH CHÍNH (2015)
http://www.gso.gov.v[...]
[3]
웹사이트
Balk
http://mocchau.sonla[...]
2017-01-23
[4]
웹사이트
Unihan data for U+23D13
https://www.unicode.[...]
2014-08-10
[5]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6]
문서
ヨーロッパにも分類され得る。
[7]
문서
一部は[[アフリカ]]に含まれる。
[8]
문서
"{{vie|pr=떠이|v=Tây |hn=西|eum=서}}, {{vie|pr=동|v=Đông |hn=東|eum=동}}, {{vie|pr=남|v=Nam |hn=南|eum=남}}, {{vie|pr=박|v=Bắc |hn=北|eum=북}}, {{vie|pr=쯩|v=Trung |hn=中|eum=|중}}, {{vie|pr=보|v=Bộ |eum=부|hn=部}}"
[9]
웹인용
Xếp hạng, quy mô dân số, diện tích các tỉnh thành Việt Nam
https://vietnam-trav[...]
2024-11-02
[10]
뉴스
Hà Nội: Đạt và vượt 7/7 chỉ tiêu đề ra trong công tác dân số
https://chinhsachcuo[...]
2024-11-02
[11]
웹인용
Cần Thơ đang trong thời kỳ “dân số vàng”
https://baocantho.co[...]
2024-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